마포구 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포구 을은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마포구 갑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13대부터 17대까지는 창전동, 상수동, 서교동, 동교동, 합정동, 망원동, 연남동, 성산동, 상암동을 관할했으며, 18대 이후 현재는 서강동, 서교동, 합정동, 망원동, 연남동, 성산동, 상암동을 관할한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강신옥, 박주천, 정청래, 강용석, 손혜원 등이 있으며, 정청래가 2020년과 2024년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마포구의 정치 - 마포구청장 선거
마포구청장 선거는 서울특별시 마포구의 구청장을 선출하기 위한 선거로, 1995년부터 2022년까지 총 8회 치러졌으며, 선거 결과는 당시 정치적 상황과 유권자들의 의중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 서울 마포구의 정치 - 마포구청장
마포구청장은 서울특별시 마포구의 행정을 책임지는 최고 책임자로, 1946년부터 1995년까지는 관선, 이후에는 주민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되었으며, 역대 구청장들의 정보는 본문에서 자세히 다룬다. -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 동작구 을
동작구 을은 1988년 동작구 갑에서 분리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서울특별시 동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박실, 유용태, 나경원, 이수진 등 역대 국회의원을 배출했고 2024년 총선에서는 나경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 종로구 (1988년 선거구)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종로구는 소선거구제 시행으로 단독 선거구로 치러졌으며, 민주정의당 이종찬 후보가 당선되었다. - 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는 1988년 제13대 총선을 앞두고 종로구·중구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서울특별시 중구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6년 인구 감소로 성동구 갑·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중구·성동구 을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 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동작구 을
동작구 을은 1988년 동작구 갑에서 분리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서울특별시 동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박실, 유용태, 나경원, 이수진 등 역대 국회의원을 배출했고 2024년 총선에서는 나경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 마포구 을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 마포구 을 | |
| 기본 정보 | |
| 의회 | 국회 |
| 연도 | 1988 |
| 유형 | 국회 |
| 이전 선거구 | 마포구·용산구 |
| 의원 | 정청래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 의원수 | 1인 |
2. 역사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마포구 갑과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초기에는 창전동, 상수동, 서교동, 동교동, 합정동, 망원동, 연남동, 성산동, 상암동을 관할했다. 이후 행정동 통합을 거쳐 2008년 제18대 총선부터 현재의 관할 구역을 갖추게 되었다.
2. 1. 관할 구역 변천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었다. 신설 당시 마포구 창전동, 상수동, 서교동, 동교동, 합정동, 망원동, 연남동, 성산동, 상암동이 마포구 을로 명명되었으며 나머지 지역인 아현동, 공덕동, 신공덕동, 도화동,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노고산동, 신수동은 마포구 갑이 되었다.이후 수차례의 행정동 통합을 거쳐 2008년 제18대 총선부터 지금의 관할 구역을 이루게 되었다.
| 대수 | 관할 구역 |
|---|---|
| 13대 ~ 17대 | 마포구 창전동, 상수동, 서교동, 동교동, 합정동, 망원1동, 망원2동, 연남동, 성산1동, 성산2동, 상암동 |
| 18대 ~ 현재 | 마포구 서강동, 서교동, 합정동, 망원1동, 망원2동, 연남동, 성산1동, 성산2동, 상암동 |
3. 역대 국회의원
선거 정당 의원 1988년 통일민주당 강신옥 1992년 민주자유당 박주천 1996년 신한국당 2000년 한나라당 2004년 열린우리당 정청래 2008년 한나라당 강용석 2012년 민주통합당 정청래 2016년 더불어민주당 손혜원 2020년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2024년 더불어민주당
3. 1. 제13대 ~ 제16대
3. 2. 제17대 ~ 제22대
4. 역대 선거 결과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강신옥 | 통일민주당 | 40,563 | 38.44 |
| 박주천 | 민주정의당 | 28,178 | 26.70 |
| 김승목 | 평화민주당 | 22,955 | 21.75 |
| 장덕환 | 신민주공화당 | 13,814 | 13.09 |
| 합계 | 105,510 | 100 |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박주천 | 민주자유당 | 48,057 | 42.51 |
| 김현규 | 민주당 | 42,988 | 38.03 |
| 장덕환 | 통일국민당 | 19,524 | 17.27 |
| 이익균 | 신정치개혁당 | 2,464 | 2.17 |
| 합계 | 113,033 |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박주천 | 신한국당 | 35,819 | 36.35 |
| 김충현 | 새정치국민회의 | 32,734 | 33.22 |
| 강신옥 | 무소속 | 13,568 | 13.76 |
| 장덕환 | 자유민주연합 | 8,516 | 8.64 |
| 장신규 | 통합민주당 | 7,900 | 8.01 |
| 합계 | 98,537 | 100 |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박주천 | 한나라당 | 41,614 | 46.20 |
| 황수관 | 새천년민주당 | 40,923 | 45.43 |
| 장덕환 | 자유민주연합 | 3,579 | 3.97 |
| 인미숙 | 청년진보당 | 3,542 | 3.93 |
| 김세곤 | 민주국민당 | 407 | 0.45 |
| 합계 | 90,065 | 100 |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정청래 | 열린우리당 | 45,405 | 44.76 |
| 강용석 | 한나라당 | 39,598 | 39.04 |
| 유용화 | 새천년민주당 | 9,216 | 9.08 |
| 정경섭 | 민주노동당 | 6,297 | 6.20 |
| 손진철 | 자유민주연합 | 912 | 0.89 |
| 박주천 | 무소속 | - | 사퇴 |
| 합계 | 101,428 |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강용석 | 한나라당 | 36,447 | 45.94 |
| 정청래 | 통합민주당 | 30,050 | 37.88 |
| 서준영 | 친박연대 | 7,563 | 9.53 |
| 정경섭 | 진보신당 | 4,105 | 5.17 |
| 김연정 | 평화통일가정당 | 1,161 | 1.46 |
| 합계 | 79,326 | 100 |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정청래 | 민주통합당 | 58,163 | 54.48 |
| 김성동 | 새누리당 | 39,709 | 37.19 |
| 강용석 | 무소속 | 4,583 | 4.29 |
| 권완수 | 청년당 | 3,069 | 2.87 |
| 서현진 | 무소속 | 1,230 | 1.15 |
| 합계 | 106,754 | 100 |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 더불어민주당 | 손혜원 | 49,455 | 42.29 |
| 새누리당 | 김성동 | 37,363 | 31.95 |
| 국민의당 | 김철 | 18,330 | 15.67 |
| 무소속 | 정명수 | 4,891 | 4.18 |
| 정의당 | 배준호 | 4,639 | 3.96 |
| 노동당 | 하윤정 | 2,256 | 1.92 |
| 총합 | 116,934 | 100.00 | |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정청래 | 더불어민주당 | 69,336 | 53.75 |
| 김성동 | 미래통합당 | 47,443 | 36.78 |
| 오현주 | 정의당 | 11,445 | 8.87 |
| 이소윤 | 국가혁명배당금당 | 760 | 0.58 |
| 합계 | 128,984 | 100 |
4. 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마포구 을 선거구에서는 통일민주당 강신옥 후보가 38.4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민주정의당 박주천 후보는 26.70%, 평화민주당 김승목 후보는 21.75%, 신민주공화당 장덕환 후보는 13.09%를 득표했다.
4. 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마포구 을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박주천 후보가 당선되었다.
4. 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박주천 | 신한국당 | 35,819 | 36.35 |
| 김충현 | 새정치국민회의 | 32,734 | 33.22 |
| 강신옥 | 무소속 | 13,568 | 13.76 |
| 장덕환 | 자유민주연합 | 8,516 | 8.64 |
| 장신규 | 통합민주당1995 | 7,900 | 8.01 |
| 합계 | 98,537 | 100 |
4. 4.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박주천 | 한나라당 | 41,614 | 46.20 |
| 황수관 | 새천년민주당 | 40,923 | 45.43 |
| 장덕환 | 자유민주연합 | 3,579 | 3.97 |
| 인미숙 | 청년진보당 | 3,542 | 3.93 |
| 김세곤 | 민주국민당 | 407 | 0.45 |
| 합계 | 90,065 | 100 |
4. 5.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정청래 | 열린우리당 | 45,405 | 44.76 |
| 강용석 | 한나라당 | 39,598 | 39.04 |
| 유용화 | 새천년민주당 | 9,216 | 9.08 |
| 정경섭 | 민주노동당 | 6,297 | 6.20 |
| 손진철 | 자유민주연합 | 912 | 0.89 |
| 박주천 | 무소속 | - | 사퇴 |
| 합계 | 101,428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정청래 후보가 44.7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한나라당 강용석 후보는 39.04%, 새천년민주당 유용화 후보는 9.08%, 민주노동당 정경섭 후보는 6.20%, 자유민주연합 손진철 후보는 0.89%를 득표했으며, 무소속 박주천 후보는 사퇴했다.
4. 6.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강용석 | 한나라당 | 36,447 | 45.94 |
| 정청래 | 통합민주당 | 30,050 | 37.88 |
| 서준영 | 친박연대 | 7,563 | 9.53 |
| 정경섭 | 진보신당 | 4,105 | 5.17 |
| 김연정 | 평화통일가정당 | 1,161 | 1.46 |
| 합계 | 79,326 | 100 |
4. 7.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통합당 정청래 후보가 54.4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새누리당 김성동 후보는 37.19%, 무소속 강용석 후보는 4.29%, 청년당 권완수 후보는 2.87%, 무소속 서현진 후보는 1.15%를 득표했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정청래 | 민주통합당 | 58,163 | 54.48 |
| 김성동 | 새누리당 | 39,709 | 37.19 |
| 강용석 | 무소속 | 4,583 | 4.29 |
| 권완수 | 청년당 | 3,069 | 2.87 |
| 서현진 | 무소속 | 1,230 | 1.15 |
| 합계 | 106,754 | 100 |
4. 8.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마포구 을 선거구에서는 총 190,675명의 유권자가 있었다. 더불어민주당 손혜원 후보가 49,455표(42.29%)를 얻어 당선되었다. 새누리당 김성동 후보는 37,363표(31.95%), 국민의당 김철 후보는 18,330표(15.67%), 무소속 정명수 후보는 4,891표(4.18%), 정의당 배준호 후보는 4,639표(3.96%), 노동당 하윤정 후보는 2,256표(1.92%)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16,934표였다.|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 더불어민주당 | 손혜원 | 49,455 | 42.29 |
| 새누리당 | 김성동 | 37,363 | 31.95 |
| 국민의당 | 김철 | 18,330 | 15.67 |
| 무소속 | 정명수 | 4,891 | 4.18 |
| 정의당 | 배준호 | 4,639 | 3.96 |
| 노동당 | 하윤정 | 2,256 | 1.92 |
| 총합 | 116,934 | 100.00 | |
4. 9.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후보가 53.7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미래통합당 김성동 후보는 36.78%, 정의당 오현주 후보는 8.87%, 국가혁명배당금당 이소윤 후보는 0.58%를 득표했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정청래 | 더불어민주당 | 69,336 | 53.75 |
| 김성동 | 미래통합당 | 47,443 | 36.78 |
| 오현주 | 정의당 | 11,445 | 8.87 |
| 이소윤 | 국가혁명배당금당 | 760 | 0.58 |
| 합계 | 128,984 | 100 |
4. 10.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후보가 52.4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국민의힘 함운경 후보는 38.77%, 녹색정의당 장혜영 후보는 8.78%를 득표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